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독서논술지도사와 독서지도사의 차이점

아이의 독서 능력을 키워주고 싶어 자격증을 알아보다 보면 '독서논술지도사'와 '독서지도사'라는 비슷한 이름의 자격증을 마주하게 됩니다. 이름은 비슷한데 과연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두 자격증 중 어떤 걸 준비해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이 두 자격증의 차이점과 각각의 역할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독서관련 지도사 FAQ 바로가기

독서논술지도사와 독서지도사의 차이점

1. 자격증의 목적과 역할

독서지도사는 말 그대로 '독서 습관 형성'과 '책 읽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자격입니다. 주로 아이들이 책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올바른 독서 방법을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 대상은 유아부터 초등학생이며, 독서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습관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독서논술지도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독서를 기반으로 글쓰기 능력, 특히 논리적인 사고와 표현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자격입니다. 독서 후 생각을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글로 풀어내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초등 고학년부터 중고등학생까지, 논술 대비나 사고력 훈련이 필요한 연령대에 더욱 적합합니다.

2. 교육 내용과 커리큘럼의 차이

독서지도사 과정에서는 그림책 활용법, 독서 프로그램 구성, 연령별 독서 지도법 등을 배우게 됩니다. 감성 독서, 독후활동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책과 친해지는 데 도움을 줍니다.

 

독서논술지도사 과정에서는 독서 후 생각을 정리하고 글로 표현하는 방법, 다양한 글쓰기 유형(설명문, 주장문, 비교분석 등), 논술 첨삭 기법 등을 배웁니다. 보다 학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3. 활동 분야의 차이

  • 독서지도사는 주로 유아교육기관, 방과후학교, 도서관, 문화센터 등에서 활동하며, 독서 흥미 유발과 기본 독서 교육에 집중합니다.
  • 독서논술지도사는 학원, 논술 전문 기관, 초·중등 교과 연계 교육 등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글쓰기 지도 및 논술 대비 수업에 강점을 보입니다.

어떤 자격증이 나에게 더 맞을까?

결국 선택은 내가 어떤 연령대를 지도하고 싶은지, 어떤 목적의 수업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이에게 책을 좋아하게 만들고 싶다면 '독서지도사'가 적합하고, 독서를 바탕으로 사고력과 글쓰기 능력을 함께 키우고 싶다면 '독서논술지도사'가 더 적합합니다.

 

두 자격증 모두 교육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만큼, 나의 교육 방향과 대상에 맞는 자격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엔 두 자격증을 함께 취득하는 경우도 많으니, 커리어 확장을 위해 병행해서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