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헌절 뜻, 의미, 역사적 배경 및 노래 총정리!

제헌절은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으로써의 기틀을 세운 역사적인 날인데요. 헌법 제정을 기념해서 국민의 주권 가치를 되새기는 의미가 있으며, 오늘은 그 뜻과 의미, 역사적 배경, 노래, 공휴일 여부까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국민 88%동의, 제헌절 다시 공휴일?

제헌절 뜻

제헌(制憲) = 헌법을 제정한다는 뜻.

제헌절 = 대한민국 헌법을 처음으로 제정·공포한 날(1948년 7월 17일)을 기념하는 국경일

제헌절 의미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으로서의 법적·제도적 기틀을 세운 날

자주독립 국가로서의 헌법 체계를 마련해 국민 주권과 민주주의 원칙을 명확히 한 날

7월 17일로 정한 것은 조선 건국일(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운 음력 7월 17일)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계승

제헌절의 역사적 배경

  •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군정이 실시되던 시기
  • 1948년 5월 10일: 유엔 감시하에 대한민국 최초의 총선거 실시(제헌국회 의원 선출)
  • 1948년 7월 12일: 제헌국회에서 대한민국 헌법을 의결
  • 1948년 7월 17일: 헌법을 공포 → 이 날을 기념해 제헌절로 지정
  • 1948년 8월 15일: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수립

즉, 제헌절은 단순히 헌법이 만들어진 날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주권 국가로서 스스로의 법을 제정한 역사적 전환점이에요.

 제헌절 노래

제헌절 기념 공식 노래가 있어요. 1949년 제정되어 오랫동안 제헌절 행사에서 불려왔습니다.

 ✔️ 가사 (1절)

오늘은 우리나라

율법 세운 날

삼천리 강산에

자주독립의

기본을 세운 이

거룩한 날을

온 국민 함께

기려 영세토록

길이 빛내세

 작사: 정인보

 작곡: 박태준

 공휴일 여부

1949년부터 국경일이자 공휴일로 지정되어 매년 7월 17일은 쉬는 날이었어요

그러나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 → 국경일이지만 법정 공휴일(쉬는 날)은 아님

이유: 국가공무원 근무일수 조정(노동생산성 향상 등을 이유로 공휴일 축소)

마치며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공포해 민주공화국의 기틀을 세운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노래도 있으며 현재는 공휴일이 아니지만 여전히 중요한 국가기념일입니다.